KLA(KLAC) 완전 분석: 반도체 공정 제어의 글로벌 리더, 성장·배당·기술 경쟁력까지! 반도체 검사·계측 절대 강자 시가총액 154조원

1부: 기업 개요 및 사업 모델

KLA는 1975년 KLA 계측기 회사로 설립되었고, 1997년 Tencor와 합병을 통해 현재의 형태를 갖추며 반도체 공정 제어 장비의 글로벌 1위로 성장했습니다 
이 회사는 웨이퍼, 마스크, 반도체 패키징, PCB, 디스플레이 등 전 공정에 걸친 검사 및 메트롤로지 장비를 제공하며, 매출의 약 89%가 반도체 공정 제어에서 나오고, 나머지는 PCB·FPD·패키징 검사 등에서 발생합니다 .

스크린샷 2025 06 12 131433


2부: 경영진 및 임원진 소개

  • Rick Wallace (CEO & President): 1988년 입사 이후 CEO로 재직 중이며, SEMI 회장 등을 역임

  • Bren Higgins (CFO): 1999년 입사 후 재무·투자·M&A 담당

  • Ahmad Khan (Semi Products & Customers 총괄), Brian Lorig (글로벌 서비스 EVP) 등 주요 임원이 풍부한 실무 경험 보유


3부: 기업 역사 및 인수합병 전략

  • 1997년: KLA와 Tencor 합병

  • 2019년: Orbotech 인수($3.4B), PCB·패키징·FPD 부문 확대

  • Orbotech 인수 후 매출·서비스 다변화 달성과 $1B 자사주 매입 승인


4부: 제품 포트폴리오

  • 반도체 공정 제어 장비: 웨이퍼·마스크·패키지 검사 및 메트롤로지

  • PCB·디스플레이 검사 장비: Orbotech 통합 제품 라인

  • 글로벌 서비스 부문: 장비 고가용성·예측진단·CS 확대
    이 구조는 AI반도체·고난도 패키징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핵심 경쟁력입니다 .

스크린샷 2025 06 12 131452


5부: 주요 고객 및 시장 점유율

  • TSMC, 삼성, 인텔, 마이크론 등 주요 파운드리 및 IDM 고객.

  • 매출 지역 비중: 중국 27%, 대만 24%, 한국 18%, 미국 12% 등 다양하게 분산돼 있습니다

  • ID 자료 기준, 반도체 검사 장비 시장 1위 유지.


6부: 중요 뉴스 및 이슈

  • Q3 FY2025 실적 발표 (2025년 3월) → 매출 $3.06B, Non-GAAP EPS $8.41 → 가이던스 상회

  • 분기 배당 $1.90로 인상 (16년 연속) 및 $5B 자사주 추가 승인

  • Orbotech 인수에 대한 중국 반독점 승인 획득


7부: 최근 실적 분석

  • Q3 FY25: 매출 $3.06B (+30% YoY), GAAP EPS $8.16, Non-GAAP EPS $8.41

  • OCF $1.07B, FCF $990M (32% FCF Margin), 자사주·배당에 $732M 지출

  • 52분기 연속 서비스 매출 성장, advanced packaging 단독 매출 $850M 수준 기대


8부: 재무제표 심화 분석

  • 2024년 매출(연간): $10.5B, 영업이익 $2.35B, 순이익 $2.75B, 총자산 $15.4B .

  • 주당순이익 수준 상승 및 Non‑GAAP EPS $34대 비중.

  • 현금, 부채비율 안정적→자금 유연성·배당 여력 확보.


9부: 밸류에이션 & 주가 모멘텀

  • PER 약 25배, EV/EBITDA 약 18배, 배당수익률 약 0.87% 수준.

  • IBD Composite Rating 97/100, RS Rating 82 전고점 강세 확인 .

  • 기술적으로 896선 저항 돌파 시 추가 모멘텀 기대.


스크린샷 2025 06 12 130806

10부: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

성장 모멘텀:

  • AI·HPC·고난도 공정(CPU∙GPU∙HBM)의 지속 증가 → 공정 제어 장비 수요 확대.

  • advanced packaging과 PCB 검사 비중 증가 → 매출 다각화 지속 .

재무 전략:

  • Dividends: 최근 $1.90 분기 인상, 자사주 추가 $5B 승인FCF conversion 88% → 꾸준한 주주환원 기조 유지.

리스크 요인:

  • 반도체 업계 cyclical nature로 인한 수요 변동

  • 미중 무역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

  • 기술 경쟁 심화 및 가격 압박

투자 전략:

투자자 유형 전략 요약
장기 성장형 AI·공정 장비 수요 확대 수혜 → 분할매수 + 배당 재투자
기술적 진입형 896 돌파 + 거래량 동반 시 매수 포인트로 활용
보수적 투자자 경계 구간 가격 조정시 소량 매수, 추세 유지 확인 후 비중 확대

결론:
KLA는 반도체 업계 내 확고한 기술 리더십과 안정적 재무, 강화된 주주환원을 보유한 기업입니다. AI·첨단 공정 확대가 예상되는 2025~2026년 시기에는 주가 재평가 및 수익 기회가 동시에 존재합니다. 다만 사이클 변동성에 주의하며 리스크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.

KLA | 공정 제어 및 수율 관리 선도 기업

미국 ETF – 대형 성장주 한 번에 담기 – 뱅가드 그로스 ETF(VUG) 완전 정리 시총 209조원

미국 우량 헬스케어 주식, 스트라이커(SYK) 완전 분석 시가총액 205조원